물리 낙서장/양자역학 (2) 썸네일형 리스트형 CSCO란? CSCO는 Complete Set of Commuting Observables의 줄임말이다. 양자역학에서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Complete Set of Commuting Observables (CSCO) is a set of commuting operators whose eigenvalues completely specify the state of a system. 정의를 정확하기 이해하기 위해, 아래 용어의 뜻을 정확하게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1. 먼저 Observable은 Hermitian Operator를 의미한다. 잘 알고 있겠지만, $A^{\dagger} = A$ 인 경우, (matrix에서 $(A^T)^{-1} = A$ 인 경우) A를 Hermitian이라고 한다. 2. 다음,.. 0. 양자역학의 태동 양자역학을 배우기에 앞서, 양자역학이 태동한 역사적인 배경을 가볍게 살펴보자. 19C말. 해석역학의 발전으로 당시 학자들은 물체의 운동을 이제 모두 알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 유명한 뉴턴의 운동방정식을 가지고 말이다. $$ \vec F= m \frac{(d^2 \vec r)}{(dt^2)}$$ 이 때 m은 관성질량으로서, 비례상수이다. 운동방정식은 2차 미분 방정식이므로, 2개의 미정상수를 일반해로 포함한다. 따라서 초기위치와 초기속도를 알고 있다면, 미정상수 또한 결정 가능하다. 20C 초. 기존에 원자는 푸딩에 건포도가 박혀있는 '푸딩 모형'으로 생각되어져왔다. (톰슨) 그러나 Rutherford의 실험 - 금박지에 알파 입자를 쏘는 실험 - 을 통해 '푸딩 모형'이 옳지 않다는 것을 밝혀냈다. 입.. 이전 1 다음